플래쉬 모드
2001-10-19 |
오늘 강좌에서는 플래쉬 모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디지탈 카메라에서 많이 봐왔던 플래쉬는 다음과 같은 모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먼저 자동, 적목방지, 강제발광, 발광금지의 네 가지 기본 모드를 채용하고 있으며 그 밖에도 기종에 따라 슬로우 싱크로나 데이라이트 싱크로 등이 있습니다. 카메라의 기본원리가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이용하여 사물의 밝고 어두움을 필름 또는 CCD 센서에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빛은 사진 촬영시에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디지탈 카메라에서 빛을 조절하는 기능 중에서 조리개를 이용하거나 셔터 스피드를 이용하여 좀 더 오랜 시간동안 빛을 받아 들이는 방법이 있지만 자연광이 없는 야간에는 플래쉬의 기능에 따라 이미지의 좋고 나쁨이 결정된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디지탈 카메라에서 주로 제공되고 있는 플래쉬 모드는 자동,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 방지 그리고 슬로우 싱크로이기 때문에 이번 강좌에서는 이 다섯 가지 모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자동 모드는 카메라 자체적으로 광량을 파악하여 플래쉬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저광량시나 역광시에 자동으로 플래쉬가 발광하게 되어 좀 더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합니다. 강제 발광 모드는 플래쉬를 무조건 작동 시키는 모드로서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을 촬영할 경우에는 플래쉬를 강제 발광 시키지 않으면 촬영을 하더라도 어두운 곳에 있는 피사체는 너무 어둡게 나오기 때문에 이럴 때는 강제 발광 모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발광 금지 모드는 플래쉬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색다른 이미지를 원할 경우에 주로 사용합니다. 어쩌면 누드갤러리에 어울릴 것 같은 사진들요. ^.^; 특히 근거리에서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쉬가 터지면 이미지가 하얗게 떠 버리기 때문에 발광금지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목 방지 모드는 인물 촬영시에 플래쉬로 인해 사람의 눈이 적색으로 표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적목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플래쉬가 터지면서 갑자기 밝은 빛으로 인해 동공이 좁아져 동공 속의 혈관이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주로 컴팩트 디지탈 카메라에서 이런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렌즈와 플래쉬와의 거리가 가깝거나 피사체와 카메라의 거리가 가까울 때 많이 발생합니다. 니콘의 쿨픽스 990에서도 이런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995에서는 팝업 플래쉬를 채용하여 개선한 적이 있습니다. (사진의 모델들은 저희 동네 꼬마들이랍니다. 기꺼이 모델에 응해주더군요. 귀여운 녀석들. *^^* 작은 이미지에서는 적목 현상을 확인하기 어렵네요. 큰 이미지로 확인해보세요.)
슬로우 싱크로는 낮은 셔터 스피드로 플래쉬 촬영을 하여 인물과 배경을 모두 밝게 촬영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주로 야경이나 어두운 실내에서 촬영시 전체적으로 어둡다거나 피사체는 밝지만 주위 배경은 어두울 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이런 경우는 보통 주위 배의 광량이 부족하여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셔터 스피드를 낮게 해주면 일반 촬영시 보다 더 오랫동안 빛을 받게 되어 전체적으로 좀 더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셔터 스피드가 빠를 때 플래쉬를 사용하면 근접한 곳은 밝게 나오지만 조금 먼 거리는 어둡게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도 슬로우 싱크로를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걷을 수 있습니다.
데이라이트 싱크로는 주로 낮에 플래쉬를 이용해 촬영할 때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역광 촬영시에 피사체가 어두워지지 않도록 밝은 낮에도 플래쉬를 사용하여 적정한 노출을 얻을 수 있어 자연스러운 분위기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오토데이라이트 싱크로도 있습니다.
흔히 밝은 실외에서는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좀 더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원할 경우에는 빛을 잘 이용해야 합니다. 처음으로 디지탈 카메라를 사용하는 초보자라도 플래쉬 모드를 이용하여 전문가 못지 않는 뛰어난 화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카메라에 따라 플래쉬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정 노출을 얻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고 외장 플래쉬를 사용할 수 있는 기종도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 플래쉬를 사용하면서 가장 자연스러운 노출을 얻을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이 필요합니다. 역시 연습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이겠지요. "자 이제 우리도 쿨 한 번 해보자." |
박진홍 jinreds@hot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