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날 2007. 3. 11. 15:49
2004-03-24  

 카메라 사양표를 보면 렌즈부분에 관한 내용 중 초점거리, 렌즈 밝기, 초점방식, 줌 등의 내용이 많습니다. 오늘은 이중에서 초점거리와 화각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초점거리란 간단하게 설명하면 렌즈와 CCD면과의 거리로 f = 35mm 등으로 표시됩니다. 초점거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카메라 강좌 '디지탈 카메라 초점 거리'에서 살펴보세요.

 

 오늘은 초점거리를 통해 알 수 있는 부분 중 화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초점거리가 짧은 제품은 광각촬영에 유리하다, 초점거리가 길면 망원촬영에 유리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는 화각과 초점거리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1. 초점거리와 화각

 

 그럼, 화각이란 무엇일까요? 화각은 렌즈를 통해 보이는 각, 시야, 즉 넓이를 말합니다. 초점거리에 따라 화각이 다르며 렌즈의 중심이 이동하는 줌 렌즈의 경우, 줌 사용여부에 따라 화각이 달라집니다.

 

 초점거리가 짧으면 화각은 넓어집니다. CCD와 렌즈와의 거리가 짧으므로 담을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지요. 반대로 초점거리가 길면 화각은 넓어져 카메라에 담아지는 범위는 좁아집니다.

 

초점거리가 짧다 = 화각이 넓다

초점거리가 길다 = 화각이 좁다

 

 초점거리가 다른 2개의 카메라로 피사체와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을 했습니다. 일단 촬영되는 범위는 조금 다릅니다. 초점거리가 짧아 화각이 넓은 사진에서 좀더 넓은 범위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초점거리 f=33mm(35mm환산 시)

초점거리 f=38mm(35mm환산 시)

 

 이제 초점거리가 다른 2개의 카메라가 아닌 한 대의 카메라로 줌을 사용해가면서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카메라는 줌을 사용하면 초점거리가 길어지고 화각도 좁아집니다.

 

 

 다음 사진을 보면 1대의 카메라로 줌을 사용하여 화각을 비교한 것입니다. 줌을 사용한 사진이 시야가 좁아진 것을 볼 수 있으며 피사체와의 거리가 가까워졌습니다.

 

초점거리 f=38mm(35mm환산 시)

화각이 넓다

초점거리 f=190mm(35mm환산 시)

광학 5배 줌 사용

화각이 좁다

 

 

2. 줌과 화각

 

 그럼, 줌을 사용해서 피사체를 당겨 촬영한 것과 최대 광각에서 촬영자가 피사체에 다가가서 촬영하는 것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줌을 당겨서 촬영한 사진은 초점거리가 길어지면서 피사체가 가까이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얻을 수 있습니다. 화각이 좁아졌으므로 그에 따라 배경도 좁은 범위만 촬영됩니다.

 

줌을 사용하지 않고 가까이에서 촬영

화각이 넓다

광학 5배 줌을 사용하여 촬영

화각이 좁다

 

 줌을 사용하지 않고 가까이 다가가서 촬영한 사진을 보면 피사체는 줌을 사용한 것과 같이 가까이에서 촬영됩니다. 하지만, 배경은 화각이 넓게 촬영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줌을 사용하지 않고 가까이에서 촬영

화각이 넓다

광학 5배 줌을 사용하여 촬영

화각이 좁다

 

 배경을 모두 담고 피사체를 부각시키려면 초점거리가 짧은 광각촬영에서 피사체에 가까이 다가가 촬영하면 되고, 배경은 상관없이 피사체만을 부각시키려면 피사체와 촬영자가 멀리 있다하더라도 줌을 사용해 자연스런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2. 화각에 따른 원근감

 

 초점거리가 다르면 화각이 달라지므로 촬영되는 범위가 다르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줌을 사용했을 때와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화각변화와 상황에 따른 광각, 망원촬영 효과도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화각의 변화에 따라 사진에서 느낄 수 있는 느낌은 무엇이 있을까요? 바로 원근감입니다. 원근감은 가까이 있는 물체는 더욱 크게, 멀리 있는 물체는 더욱 작게 보이게 하는 효과입니다.

 

 다음 이미지는 화면안에 피사체의 크기를 동일하게 보이도록 촬영하였으므로 피사체와 배경은 고정되어 있지만 카메라의 위치는 다릅니다.

 

초점거리 f=33mm(35mm환산 시)

초점거리 f=38mm(35mm환산 시)

가까이 다가가서 인물의 크기를 맞춰서 촬영

 

 초점거리가 짧아 화각이 넓은 사진은 피사체뿐만 아니라 배경까지 시원하게 담습니다. 그리고 피사체와 배경이 무척 멀어 보이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 초점거리가 길어 화각이 좁은 사진은 동일한 크기의 피사체가 촬영되었지만 배경은 좁은 범위가 촬영되었고 피사체와 배경과의 거리가 가깝다고 느껴집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화각이 넓으면 배경과 피사체와의 거리가 멀어보이는 원근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강좌에서는 초점거리와 줌, 화각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화각의 변화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의 배경을 얻을 수 있고, 원근감의 효과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풍경촬영시 최대 광각에서 피사체를 가까이에 두고 촬영하는 것이 좋고, 곤충이나 조류나 인물 촬영 등과 같이 주 피사체만을 부각시킬 때에는 줌을 이용한 망원촬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신은주 jujushin@empa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