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알아가는 것/전자상거래

디지털카메라의 기본기능

웃는날 2007. 2. 10. 10:28

디지털카메라의 기본기능

 

기존 카메라는 렌즈를 통한 화상을 필름에 감광 시켜

그것을 현상, 인화하는 작업을 거쳐야만 사진을 얻을 수 있으나

디지털카메라는 필름대신 CCD로 화상을 받아들여 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그래픽 파일로 메모리에 저장한다.

촬영한 사진을 화면(LCD)을 통해 즉석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컴퓨터를 통한 편집, 출력 등 다양한 자료 처리가 가능하고

필요 시 프린터로 즉시 인쇄할 수 있어서 그 활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 촬영범위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는 일반촬영모드와 근접(매크로)촬영 모드가 있으며

일반모드 시 50cmm에서 무한대까지 일반적인 촬영에 사용하며

근접은 2-5cmm 까지 손톱만한 크기의 사물을 화면 가득히 채워서 확대하거나 재질감 표현 등에 사용된다

 

 

 

필름카메라와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한 사진을 보고 즐긴다는 카메라의 기본적인 사용용도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기기 연결: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한 사진을 좀더 빠르고 편리하게 또한 컴퓨터와 TV같은 AV기기등에 연결하여 이미지를 컴퓨터로 전송할 수 있다.

 

건전지: 디지털 카메라는 소형 리튬이온 건전지를 사용하는 일반 컴팩트형 카메라와는 달리 많은 전원을 요구하기 때문에 용량이 큰 건전지를 사용해야 합니다.

 

액정화면: 카메라에 장착된 액정화면은 사용자가 사진을 찍고 난 즉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어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가 체감적으로 느낄 수 있다. 사진을 촬영한 그 즉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여 잘못 촬영된 사진의 경우 즉시 확인하여 다시 촬영할 수 있 다. 일반 필름 사용자의 경우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한 사진을 보기 위해서는  필름을 다 인화하기 전에는 볼 수 가 없다.

 

저장 방식 기존 일반 카메라는 사진 이미지를 필름에 저장되어 보존하는 반면 디지털 카메라는 CCD를 통해 받아진 데이터를 별도의 메모리 즉,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메모리 카드는 일반 필름과는 달리 이미지를 삭제하여 다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필름값이 들지 않는다

 

 

이미지 기록방식.

 

기존 아날로그 카메라가 빛을 필름에 투영하여 일어나는 화학적인 변화를 통해 이미지를 기록하는 방식임에 반해, 디지털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을 CCD라고 하는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는 0 1  디지털 신호로써 여러 번의 복사와 이동 그리고 장기간 보존시에도 원본과 동일한 무한 대의 사진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